본문 바로가기
⚙️백엔드 : Backend/Server

Github pages 정적 배포하는 방법 | 정적배포란?

by 예옹이 2025. 4. 6.

 

정적배포란?

정적 웹 사이트는 콘텐츠가 미리 만들어진 HTML, CSS, JavaScript 파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사용자의 요청이 들어오면 서버가 해당 파일을 그대로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이 방식은 작성자가 소수이고 콘텐츠의 변화가 적은 웹사이트에 적합합니다.

정적 웹사이트는 서버에서 별도의 처리를 하지 않고 미리 준비된 파일을 그대로 제공하므로, 로딩 속도가 빠르고 배포가 간편합니다. 다만, 콘텐츠를 자주 변경하거나 사용자 맞춤형 기능이 필요한 경우에는 한계가 있을 수 있습니다.

💡 정적 콘텐츠(HTML, 이미지 등)를 웹사이트에 올려놓고 그대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됩니다.

 

 

동적배포란?

동적 웹 사이트는 클라이언트(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서버에서 콘텐츠를 실시간으로 생성해 전달하는 방식입니다. 서버는 요청을 처리하면서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하여, 상황에 맞는 콘텐츠를 생성합니다.

동적 웹사이트는 사용자마다 다른 콘텐츠를 보여줄 수 있고, 데이터 변화에 유연하게 대응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그만큼 서버 부하가 클 수 있고, 배포 및 관리가 복잡해질 수 있습니다.

💡 “요청, 시간, 사용자 정보” 등에 따라 페이지가 실시간으로 달라진다 → 그래서 '동적(Dynamic)'이라고 부릅니다.

 

 

항목 정적 배포 동적 배포
콘텐츠 생성 시점 미리 생성 요청 시 생성
속도 빠름 상대적으로 느림
서버 자원 사용 적음 많음
사용 예시 블로그, 포트폴리오 쇼핑몰, SNS
유연성 낮음 높음

 

 


 

 

Github pages로 정적 배포하는 법

 

배포하고자 하는 레포지토리의 Settings로 들어갑니다.

그리고 Pages 메뉴로 들어가서

원하는 Branches를 설정하고 Save 해줍니다.

그리고 새로고침을 해보시면

원하던대로 정적 배포가 잘 된걸 확인하실 수 있고,
정적 배포된 웹사이트에 방문하실 수 있습니다.

 

+)

확인하고싶은 페이지가 있다면
배포된 사이트 경로 뒤에 원하는 경로를 추가해주셔야 합니다.

https://eonwy.github.io/voice-reco-book-search/kakaobook.html

 

이런식으로 뒤에 경로를 추가해주면 해당 페이지를 확인해보실 수 있습니다!

 

 

참고 )

https://aws.amazon.com/ko/getting-started/hands-on/host-static-website/faq/

 

FAQ

Q: 정적 웹 사이트란 무엇입니까? 정적 웹 사이트는 웹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생성되는 동적 웹 페이지와는 반대로, 정확히 저장된 그대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웹 사이트입니다. 정적 웹 사이트

aws.amazon.com